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1002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52
1170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10089
1169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92
1168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1167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8
1166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108
1165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109
1164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12
1163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113
1162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114
1161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22
1160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122
1159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26
1158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37
1157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39
1156 썩이다와 썩히다 바람의종 2010.02.25 10146
115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147
1154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48
1153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148
1152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150
1151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3
1150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54
1149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