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997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156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815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3029
    read more
  4. 공쿠르, 콩쿠르

    Date2009.06.16 By바람의종 Views5776
    Read More
  5. 에다 / 에이다

    Date2009.06.15 By바람의종 Views10249
    Read More
  6. 알아야 면장한다.

    Date2009.06.15 By바람의종 Views6826
    Read More
  7. 세모, 세밑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7151
    Read More
  8. 날염, 나염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9332
    Read More
  9. 선택사양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6753
    Read More
  10.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8460
    Read More
  11.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10822
    Read More
  12. 셀프-서비스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940
    Read More
  13.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Date2009.06.01 By바람의종 Views7675
    Read More
  14.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Date2009.06.01 By바람의종 Views9456
    Read More
  15. 주위 산만, 주의 산만

    Date2009.05.31 By바람의종 Views10930
    Read More
  16. 토씨의 사용

    Date2009.05.31 By바람의종 Views6274
    Read More
  17. 망년회(忘年會)

    Date2009.05.30 By바람의종 Views6023
    Read More
  18. 재원(才媛), 향년

    Date2009.05.30 By바람의종 Views10008
    Read More
  19. 여부, 유무

    Date2009.05.29 By바람의종 Views15375
    Read More
  20.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Date2009.05.29 By바람의종 Views14328
    Read More
  21. 눌은밥, 누른밥, 누룽지 / 눌어붙다, 눌러붙다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4157
    Read More
  22. 껍질, 껍데기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0677
    Read More
  23.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Date2009.05.26 By바람의종 Views12072
    Read More
  24. 여우비

    Date2009.05.26 By바람의종 Views6840
    Read More
  25. 두루치기

    Date2009.05.25 By바람의종 Views1138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