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991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2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8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673
2314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1
2313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210
2312 추켜세우다, 치켜세우다 바람의종 2009.06.29 10204
2311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198
2310 넥타이는 매고,배낭은 멘다 바람의종 2010.03.02 10197
2309 방불하다 바람의종 2009.07.31 10196
2308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195
2307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94
230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93
2305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92
2304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87
2303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2302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84
2301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183
2300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65
2299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162
2298 억장이 무너지다 바람의종 2008.01.26 10157
229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56
2296 악머구리 끓듯 한다 바람의종 2008.01.22 10152
229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50
2294 넙적하게, 넓다란, 넓치, 넓죽 바람의종 2008.11.23 10143
2293 띠다와 띄다 바람의종 2010.02.22 101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