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02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일상 생활에서 흔히 잘못 쓰는 단어가 눈과 관련한 눈살·눈썹·눈곱·눈썰미 등이다. 'ㅅ'인지 'ㅆ'인지, 'ㄱ'인지 'ㄲ'인지 헷갈린다. 발음으론 구분이 어렵다. '눈쌀이 찌푸려진다'처럼 '눈살'을 '눈쌀'로 적는 경우가 많다. '눈섭이 아름답다'와 같이 '눈썹'을 '눈섭'으로 쓰는 예도 적지 않다. '그 일에는 눈꼽만큼도 관심이 없다'처럼 '눈곱'을 '눈꼽'으로 잘못 쓰기도 한다.

'눈살'은 두 눈썹 사이에 잡히는 주름으로, '뱃살'과 같이 '눈에 붙은 살'이다. '눈살이 따갑다'에서처럼 '눈총'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눈썹'은 두 눈두덩 위나 눈시울에 난 털로, '눈썹이 짙다' '눈썹이 하얗게 셌다'처럼 쓰인다. '눈썹'의 고어가 '눈섭'이며, 북한에서는 아직도 '눈섭'으로 쓴다고 한다. '눈곱'은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 또는 그것이 말라붙은 것으로 '눈곱이 끼다' '눈곱을 떼다'가 바르게 쓴 것이다. '눈곱'을 그냥 '곱'이라고도 하며, '곱'은 점액이나 기름 덩어리를 의미한다. '곱창'의 '곱'도 이런 뜻이다. '눈곱이 끼었다' 대신 '눈에 곱이 끼었다'고 해도 된다. '배꼽'을 연상해 '눈꼽'으로 적으면 안 된다.

'눈썰미'를 '눈설미'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 '그는 눈설미가 있다'에서처럼 잘못 쓰기 일쑤다. '눈살'은 '눈+살', '눈곱'은 '눈+곱'이라 생각하면 된다. '눈썹' '눈썰미'는 따로 외워야 한다. 영어 단어를 외우듯 우리말도 때론 철자를 외우는 정성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71
1170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61
1169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61
116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5
1167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21
1166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723
116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78
1164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37
1163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7
1162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98
1161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9
1160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53
1159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6
1158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27
1157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5
1156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76
1155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36
1154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82
1153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5
1152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6
»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27
115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84
1149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