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2

세꼬시

조회 수 757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꼬시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있듯 9~11월 초에 잡히는 전어는 살이 통통하고 뼈가 무르며 맛이 고소하다. 전어에는 항암작용을 하는 DHA와 EPA가 풍부하며, 암세포 수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DHA와 EPA는 피를 맑게 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도 유효하다. 또한 '밤젓'이라고 하는 전어 창자는 겨울철 김장 젓갈과 술안주로도 인기가 있으며, 전어회는 숙취제거와 피부미용에도 좋다.

횟집에서는 '전어 세꼬시'라고 써붙여 놓기까지 했다. '아삭아삭 씹히는 전어 세꼬시는 감칠맛과 거친 맛이 일품이다' '우리 집은 세꼬시 전문 횟집'이라는 말도 한다. 하지만 '세꼬시'라는 단어는 우리말이 아니다. 일본말 중에 '작은 물고기를 머리·내장 등을 제거하고 3~5㎜의 두께로 뼈를 바르지 않고 뼈째 자르는 방법'을 뜻하는 '세고시'란 말이 있다. '마구로, 사시미, 스시, 와사비' 등 '회'와 관련된 많은 말이 그렇듯이 '세꼬시'란 말도 일본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이 경상도 지방으로 건너와 '세꼬시'란 된 발음으로 변해 통용되고 있는 듯하며, 더러는 뼈째 먹으므로 고소하다 해서 '뼈꼬시'라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말이다.

'세꼬시'에 대한 순화용어는 아직 없다. '뼈째 썰어 먹는 회''뼈가 있는 회' 정도다. 평소 우리가 자주 쓰는 일본말로 보이는 이러한 단어들의 순화용어 마련이 시급하다. 집 나갔던 며느리도 맛을 못 잊어 돌아온다는 전어다. 우리말의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사람들도 다시 돌아오는 계절이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59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46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31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38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1020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79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90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680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67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150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300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60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168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79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54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65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46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53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9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00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37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25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