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2

세꼬시

조회 수 753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꼬시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있듯 9~11월 초에 잡히는 전어는 살이 통통하고 뼈가 무르며 맛이 고소하다. 전어에는 항암작용을 하는 DHA와 EPA가 풍부하며, 암세포 수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DHA와 EPA는 피를 맑게 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도 유효하다. 또한 '밤젓'이라고 하는 전어 창자는 겨울철 김장 젓갈과 술안주로도 인기가 있으며, 전어회는 숙취제거와 피부미용에도 좋다.

횟집에서는 '전어 세꼬시'라고 써붙여 놓기까지 했다. '아삭아삭 씹히는 전어 세꼬시는 감칠맛과 거친 맛이 일품이다' '우리 집은 세꼬시 전문 횟집'이라는 말도 한다. 하지만 '세꼬시'라는 단어는 우리말이 아니다. 일본말 중에 '작은 물고기를 머리·내장 등을 제거하고 3~5㎜의 두께로 뼈를 바르지 않고 뼈째 자르는 방법'을 뜻하는 '세고시'란 말이 있다. '마구로, 사시미, 스시, 와사비' 등 '회'와 관련된 많은 말이 그렇듯이 '세꼬시'란 말도 일본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이 경상도 지방으로 건너와 '세꼬시'란 된 발음으로 변해 통용되고 있는 듯하며, 더러는 뼈째 먹으므로 고소하다 해서 '뼈꼬시'라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말이다.

'세꼬시'에 대한 순화용어는 아직 없다. '뼈째 썰어 먹는 회''뼈가 있는 회' 정도다. 평소 우리가 자주 쓰는 일본말로 보이는 이러한 단어들의 순화용어 마련이 시급하다. 집 나갔던 며느리도 맛을 못 잊어 돌아온다는 전어다. 우리말의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사람들도 다시 돌아오는 계절이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24
1170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34
1169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05
116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66
1167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86
1166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808
116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5
116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2
1163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54
1162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885
1161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09
1160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0
1159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1158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1157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65
115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84
1155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75
1154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35
115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12
1152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16
115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03
1150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246
114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2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