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7 04:52

세꼬시

조회 수 756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세꼬시

'봄 도다리, 가을 전어'라는 말이 있듯 9~11월 초에 잡히는 전어는 살이 통통하고 뼈가 무르며 맛이 고소하다. 전어에는 항암작용을 하는 DHA와 EPA가 풍부하며, 암세포 수를 줄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DHA와 EPA는 피를 맑게 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데도 유효하다. 또한 '밤젓'이라고 하는 전어 창자는 겨울철 김장 젓갈과 술안주로도 인기가 있으며, 전어회는 숙취제거와 피부미용에도 좋다.

횟집에서는 '전어 세꼬시'라고 써붙여 놓기까지 했다. '아삭아삭 씹히는 전어 세꼬시는 감칠맛과 거친 맛이 일품이다' '우리 집은 세꼬시 전문 횟집'이라는 말도 한다. 하지만 '세꼬시'라는 단어는 우리말이 아니다. 일본말 중에 '작은 물고기를 머리·내장 등을 제거하고 3~5㎜의 두께로 뼈를 바르지 않고 뼈째 자르는 방법'을 뜻하는 '세고시'란 말이 있다. '마구로, 사시미, 스시, 와사비' 등 '회'와 관련된 많은 말이 그렇듯이 '세꼬시'란 말도 일본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이 경상도 지방으로 건너와 '세꼬시'란 된 발음으로 변해 통용되고 있는 듯하며, 더러는 뼈째 먹으므로 고소하다 해서 '뼈꼬시'라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말이다.

'세꼬시'에 대한 순화용어는 아직 없다. '뼈째 썰어 먹는 회''뼈가 있는 회' 정도다. 평소 우리가 자주 쓰는 일본말로 보이는 이러한 단어들의 순화용어 마련이 시급하다. 집 나갔던 며느리도 맛을 못 잊어 돌아온다는 전어다. 우리말의 소중함을 잊고 있었던 사람들도 다시 돌아오는 계절이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64
2292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66
2291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93
2290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76
2289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86
2288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70
2287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52
228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19
2285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6
»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5
22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7
2282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2281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58
2280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2279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20
2278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4
2277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51
2276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8
227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95
22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2273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32
2272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69
2271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