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15 18:01

유례 / 유래

조회 수 947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유례 / 유래

올해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쉽게 결판이 나지 않았다. 원래 이 가을 잔치는 7전4선승제로 치러진다. 그러나 올해는 세 차례 무승부를 이룬 끝에 9차전까지 가서야 우승 팀이 가려졌다. 한국시리즈사상 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삼진(27개)이 나왔고 전 경기를 통해 홈런도 16개나 나와 종전 기록(12개)을 바꿨다.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없을 만큼 혈전이었던 셈이다.

위 글에 나오는 '비슷한 예'라는 구절을 한자어로 바꾸면 '유례(類例)'가 된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문맥임에도 '유래'라고 잘못 쓰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유래(由來)는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를 뜻한다. 다음 문장을 보자.

'그의 사진세계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사진사에서도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다.'
'이 신형 항공기 실험 프로그램에는 한쪽 엔진을 끄고 이륙하는 것도 포함됐는데 이런 실험은 세계에서도 유래가 없다.'
'인터넷은 인간이 만든 최대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적·공간적 제약도 없으므로 그 유용성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다.'

위 예문들은 모두 '비슷한 예를 찾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유래'가 아니라 '유례'로 써야 의미가 제대로 전달된다.

한편 '동청리라는 마을 이름은 동쪽에 맑은 물이 흐른다는 데서 유래했고 해창리라는 동네 명칭은 예전에 포구에 창고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한식(寒食)의 유래를 알고 있습니까?' 등의 예문은 '무엇이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가'를 말하고 있으므로 '유래'를 바르게 사용한 예라 할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9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952
189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189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03
1894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4
1893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20
1892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48
1891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36
1890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5
1889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4
1888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887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58
1886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35
1885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3
1884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7
1882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75
1881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1880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2
1879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6
1878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17
1877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51
187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16
18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