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09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정치·경제·사회 환경이 불안정하다 보니 사람들의 시름이 깊어갑니다. 사물의 이치와 시대 흐름을 재빨리 읽고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총명함이 사회 각 부문에서 어느 때보다 간절합니다. '슬기롭고 영특함'은 모든 이의 바람이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초롱초롱'과 반대되는 개념의 말로'거슴츠레'가 있습니다. '눈을 가슴치레 뜨지 마라' '눈알이 게슴치레 풀리고 얼굴색마저 핼쑥하다' '거슴푸레한 표정은 보는 이로 하여금 맥빠지게 한다'처럼 신경 쓰지 않고 말하다 보면 어느 게 맞는 표현인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정신이 맑지 못해 옳고 그름의 구별이나 하는 일 따위가 분명하지 아니하다'란 뜻에는'거슴츠레'가 맞는 표현입니다. '거슴츠레'와 함께'게슴츠레''가슴츠레'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어문 규정에 따라'꺼림하다·께름하다'를 둘 다 공용어로 삼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앞이 뚜렷이 보이지 않거나 들리는 게 없으면 사람들은 더 불안해하는 경향이 있죠. 이럴 경우 '앞일이 거슴푸레해 도대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종잡을 수 없어'라고 말을 하는데 이 역시 잘못된 표현입니다. 빛이 약하거나 멀어서 어둑하고 희미할 때 방향을 잡기란 더 어렵습니다. '거슴푸레' 대신 '어슴푸레'란 정확한 단어를 사용해 '어슴푸레한 새벽이여. 어서 밝아오라'라고 해야 제대로 된 표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27
2292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4
2291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588
2290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68
2289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66
2288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918
2287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26
2286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30
2285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80
2284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05
2283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30
2282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2281 겯다 바람의종 2010.08.06 10601
2280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0
2279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3
2278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11
227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15
2276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25
2275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82
2274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043
2273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42
2272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66
22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