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22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대한민국의 양궁은 세계 최강이다.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보다 대표선발전을 통과하는 게 더 어렵다고 말할 정도다.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4개 부문 중 3개의 금메달을 차지했다. 우리나라가 계속 독주하자 국제양궁연맹(FITA)에서 여러 가지로 경기 방식을 바꿔보기도 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확고한 위치를 굳히기까지 선수와 지도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겠지만 신궁으로 전해지는 동명성왕 이래로 표적을 맞히는 특별한 재주가 우리 민족에게 대대로 전해져 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양궁이나 사격의 표적을 일컫는 말은 '과녘'일까, '과녁'일까? 많은 사람이 헷갈리는 단어다. 옛날에는 가죽으로 화살의 표적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꿰뚫을 관(貫), 가죽 혁(革) 해서 '관혁'이었는데 이것의 발음이 변해 '과녁'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가죽 '혁'의 ㄱ을 기억한다면 '과녘'처럼 받침을 'ㅋ'으로 잘못 쓸 염려는 없을 것이다.

이외에도 ㄱ 과 ㅋ 받침을 잘못 쓰기 쉬운 것들이 있다. 동녁·북녁/ 동녘·북녘은 어느 쪽이 옳을까? 새벽녁· 저물녁/ 새벽녘·저물녘은 어느 것이 맞을까? 이들은 모두 ㅋ 받침이 옳다. 방향을 가리키는 말이나 '어떤 때의 무렵'을 나타내는 말에는 '녘'을 쓴다고 기억해 두자. 여기에 덧붙인다면 요리를 하는 곳은 '부억'이 아니라 '부엌'이 맞고, 듣는 이를 조금 낮추어 이르는 말은 '이녘'이 아니라 '이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6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71
189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718
1895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18
1894 선글라스 바람의종 2008.10.10 7421
1893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991
189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723
1891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73
1890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82
1889 서울 風磬 2007.01.19 7514
1888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1083
1887 서슴치 않고 / 통털어 바람의종 2008.12.12 11283
1886 서방님 바람의종 2007.05.12 8630
188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8099
1884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62
18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23
188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330
1881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41
1880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945
1879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5
187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79
1877 생선, 생파 바람의종 2010.11.16 11326
1876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14
1875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