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24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대한민국의 양궁은 세계 최강이다.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보다 대표선발전을 통과하는 게 더 어렵다고 말할 정도다.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4개 부문 중 3개의 금메달을 차지했다. 우리나라가 계속 독주하자 국제양궁연맹(FITA)에서 여러 가지로 경기 방식을 바꿔보기도 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확고한 위치를 굳히기까지 선수와 지도자들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겠지만 신궁으로 전해지는 동명성왕 이래로 표적을 맞히는 특별한 재주가 우리 민족에게 대대로 전해져 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양궁이나 사격의 표적을 일컫는 말은 '과녘'일까, '과녁'일까? 많은 사람이 헷갈리는 단어다. 옛날에는 가죽으로 화살의 표적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꿰뚫을 관(貫), 가죽 혁(革) 해서 '관혁'이었는데 이것의 발음이 변해 '과녁'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가죽 '혁'의 ㄱ을 기억한다면 '과녘'처럼 받침을 'ㅋ'으로 잘못 쓸 염려는 없을 것이다.

이외에도 ㄱ 과 ㅋ 받침을 잘못 쓰기 쉬운 것들이 있다. 동녁·북녁/ 동녘·북녘은 어느 쪽이 옳을까? 새벽녁· 저물녁/ 새벽녘·저물녘은 어느 것이 맞을까? 이들은 모두 ㅋ 받침이 옳다. 방향을 가리키는 말이나 '어떤 때의 무렵'을 나타내는 말에는 '녘'을 쓴다고 기억해 두자. 여기에 덧붙인다면 요리를 하는 곳은 '부억'이 아니라 '부엌'이 맞고, 듣는 이를 조금 낮추어 이르는 말은 '이녘'이 아니라 '이녁'이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387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050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5153
    read more
  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Date2022.07.27 By風文 Views1528
    Read More
  5. 공공칠

    Date2011.11.10 By바람의종 Views10989
    Read More
  6. 공권력

    Date2010.09.03 By바람의종 Views8277
    Read More
  7. 공멸

    Date2009.07.22 By바람의종 Views8340
    Read More
  8. 공목달·웅섬산

    Date2008.06.28 By바람의종 Views5873
    Read More
  9. 공부

    Date2007.06.03 By바람의종 Views7276
    Read More
  10. 공암진

    Date2008.04.27 By바람의종 Views7853
    Read More
  11. 공작

    Date2009.03.30 By바람의종 Views5737
    Read More
  12. 공적인 말하기

    Date2021.12.01 By風文 Views1683
    Read More
  13. 공쿠르, 콩쿠르

    Date2009.06.16 By바람의종 Views5778
    Read More
  14. 공화 정신

    Date2022.01.11 By風文 Views1870
    Read More
  15. 곶감, 꽃감, 꽂감

    Date2011.01.30 By바람의종 Views12565
    Read More
  16. 과 / 와

    Date2010.08.27 By바람의종 Views8608
    Read More
  17. 과거시제

    Date2008.01.14 By바람의종 Views8260
    Read More
  18.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Date2009.05.09 By바람의종 Views12249
    Read More
  19. 과다경쟁

    Date2012.05.02 By바람의종 Views9370
    Read More
  20. 과대포장

    Date2007.11.08 By바람의종 Views7137
    Read More
  21. 과반수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8339
    Read More
  22. 과반수 이상

    Date2008.08.27 By바람의종 Views6246
    Read More
  23. 과욋돈

    Date2012.08.21 By바람의종 Views8986
    Read More
  24. 과잉 수정

    Date2022.05.23 By風文 Views1574
    Read More
  25. 과중, 가중

    Date2011.12.14 By바람의종 Views1050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