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6 18:52

이용과 사용

조회 수 1004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용과 사용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고 생활할 수 없는 시대다. 이들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졌거나, 이 사회와 담을 쌓고 살아가는 셈이다. 그만큼 그것들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고, 우리네 삶 속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러한 문명의 이기들이 늘 우리에게 이로움을 주는 것만은 아니다. 이런 것들은 '사용'하기에 따라서는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일상생활에서 많은 사람이 '사용'과 '이용'이라는 단어를 아무런 생각 없이 구분하지 않고 쓰고 있지만 두 단어는 사전적으론 뜻이 다르다.'사용'은 '일정한 목적과 기능에 맡게 씀', '이용'은 '대상을 필요에 따라 이롭게 씀'의 뜻으로 의미에서 차이가 있다. '이용'은 '폐품 이용, 자원의 효율적 이용, 핵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처럼 '이롭게 쓰다'라는 의미이고, '사용'은 '사용 금지, 사용 기간, 자동차 사용을 제한한다'처럼 단순히 '쓰다'의 뜻이다. 그러나 '휴대전화를 통신수단으로 이용(사용)'처럼 '이용'과 '사용' 모두 쓸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구별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어른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다'에서 '사용' 대신 '이용'을 쓰면 어색하다는 것을 단박에 느낄 것이다. 그러므로 '이용하다'와 '사용하다'의 쓰임은 문맥에 따라 달라야 한다. 이롭게 쓰는 것과 단순히 쓰는 것이 가능한 문장에서는 '이용'과 '사용'을 모두 쓸 수 있으나, '이용'이나'사용' 어느 하나만이 자연스러운 경우에는 내용에 맞게 선택해 쓰는 것이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75
2314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51
2313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53
2312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61
2311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64
2310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65
2309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65
2308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2307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68
2306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69
2305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69
2304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69
230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69
2302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70
2301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6
2300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76
2299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78
229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78
2297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79
2296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80
2295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81
2294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81
2293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4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