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20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네가 나를 모르는데 난들 너를 알겠느냐. 한치 앞도 모두 몰라. 다 안다면 재미없지…." 드라마 삽입곡으로 한때 선풍적 인기를 모았던 김국환의 '타타타'다. 드라마 주인공처럼 당시 많은 사람이 이 노래를 부르면서 세상 살아가는 일의 헛헛함을 달랬었다.

흔히 "낸들 어쩌겠어?"라고 말하는 것을 자주 본다. 그래서 이 노랫말 중 '난들'도 '낸들'이 맞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사람이 있다. 이는 '낸들'을 단순히 1인칭 대명사 '나'에 '~라고 할지라도'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인들'이 붙은 '나인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들'은 "네 마음인들 오죽하겠니?"처럼 받침 있는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온다.

당연히 '나' 뒤에는 '-인들'이 올 수 없다. 받침 없는 체언 뒤에 붙는 '-ㄴ들'과 결합해 '난들(나+-ㄴ들)'이 되는 것이다. '낸들'로 생각하기 쉬운 또 다른 이유는 1인칭 대명사에 '나'와 '내' 두 가지 형태가 있어서다. '-ㄴ들' 앞에 '내'를 넣어 '낸들'로 무심코 쓰는 경향이 있다. '나'는 주격 조사 '가'나 보격 조사 '가'가 붙으면 "내가 할 일이다" "주인공은 내가 아니다"처럼 '내'로 모습이 바뀐다.

그러나 '나를, 나도, 나는' 등과 같이 다른 조사 앞에선 '나'로 써야 한다. 나 자신을 내 자신으로 잘못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관형격 조사 '의'와 결합해 줄어든 말인 '내(나의)'를 붙여 '내 자신'으로 써도 될 것 같지만 '나의 자신'이란 말이 돼 의미가 이상하다. '자신'을 동격인 '나'로 강조한 말로 봐 '나 자신'으로 쓰는 게 옳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877
194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95
193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94
1938 바람의종 2012.07.27 9289
1937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7
1936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85
1935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285
1934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83
1933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83
1932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277
1931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76
1930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273
1929 오랑캐 風磬 2007.01.19 9270
1928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70
1927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269
1926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67
1925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67
1924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66
1923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61
1922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61
1921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60
1920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57
1919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