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4 16:52

깃들다, 깃들이다

조회 수 972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깃들다, 깃들이다

'나무·바위 같은 자연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그 연극엔 해학과 풍자가 '깃들어' 있다.'' 의식주와 생활 속에 '깃들여' 있는 토박이말의 어휘와 풀이를 담았다./ 경주엔 예지와 숨결이 '깃들여' 있는 문화유산이 많다.'

앞글에서와 같이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대부분의 사전이 '깃들이다'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어 아직 많은 사람이 '깃들다'와 '깃들이다'의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 같다. 그러나 '깃들다'와 '깃들이다'는 의미가 다르므로 구분해 써야 한다.

'깃들다'는 '거리엔 어느새 황혼이 깃들었다/ 마을에 살며시 깃드는 달큼한 향기가 그리웠다'처럼 '아늑하게 서려 들다', '올올이 짠 스웨터엔 어머니의 정성이 깃들었다'처럼 '감정·생각·노력 따위가 어리거나 스며 있다'의 의미로 쓰인다. '깃들다'에서 '깃'은 새의 둥지를 뜻한다. '깃'은 본래 '집'이란 말과 동일한 어원에서 유래했다. 옛말 '짓'이 '깃'과 '집'으로 나뉘었는데 '깃'은 새의 둥지를,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을 의미하게 됐다.

'깃'은 '지름'이 '기름'으로 변한 것처럼 'ㅈ'음이 구개음화 현상으로'ㄱ'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므로 '깃들다'는 본래 '집에 들다''둥지에 들다'라는 뜻인데 그 뜻이 추상적으로 바뀌었다. '깃들이다'는 '여우도 제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다'처럼 '짐승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그 속에 들어 살다', '우리 명산에는 곳곳에 사찰이 깃들여 있다'처럼 '사람이나 건물 따위가 어디에 살거나 그곳에 자리 잡다'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25
2182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69
2181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2180 심심파적 바람의종 2007.05.15 9766
2179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3
2178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63
2177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62
2176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761
2175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58
2174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54
2173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53
2172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49
2171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46
2170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44
2169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42
2168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42
2167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41
2166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39
2165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38
2164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36
2163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34
2162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32
2161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