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4 16:52

깃들다, 깃들이다

조회 수 974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깃들다, 깃들이다

'나무·바위 같은 자연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그 연극엔 해학과 풍자가 '깃들어' 있다.'' 의식주와 생활 속에 '깃들여' 있는 토박이말의 어휘와 풀이를 담았다./ 경주엔 예지와 숨결이 '깃들여' 있는 문화유산이 많다.'

앞글에서와 같이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대부분의 사전이 '깃들이다'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어 아직 많은 사람이 '깃들다'와 '깃들이다'의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 같다. 그러나 '깃들다'와 '깃들이다'는 의미가 다르므로 구분해 써야 한다.

'깃들다'는 '거리엔 어느새 황혼이 깃들었다/ 마을에 살며시 깃드는 달큼한 향기가 그리웠다'처럼 '아늑하게 서려 들다', '올올이 짠 스웨터엔 어머니의 정성이 깃들었다'처럼 '감정·생각·노력 따위가 어리거나 스며 있다'의 의미로 쓰인다. '깃들다'에서 '깃'은 새의 둥지를 뜻한다. '깃'은 본래 '집'이란 말과 동일한 어원에서 유래했다. 옛말 '짓'이 '깃'과 '집'으로 나뉘었는데 '깃'은 새의 둥지를,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을 의미하게 됐다.

'깃'은 '지름'이 '기름'으로 변한 것처럼 'ㅈ'음이 구개음화 현상으로'ㄱ'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므로 '깃들다'는 본래 '집에 들다''둥지에 들다'라는 뜻인데 그 뜻이 추상적으로 바뀌었다. '깃들이다'는 '여우도 제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다'처럼 '짐승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그 속에 들어 살다', '우리 명산에는 곳곳에 사찰이 깃들여 있다'처럼 '사람이나 건물 따위가 어디에 살거나 그곳에 자리 잡다'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17
1170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90
1169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65
1168 늘리다와 늘이다 바람의종 2010.04.19 10213
1167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31
1166 좋으네요, 좋네요 바람의종 2010.04.19 13449
1165 억수로 가찹데이! 바람의종 2010.04.23 11840
1164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940
1163 이판사판 바람의종 2010.04.23 10691
1162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731
1161 엿장수, 엿장사 바람의종 2010.04.23 10611
1160 완강기 바람의종 2010.04.23 12511
1159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82
1158 실랑이와 승강이 바람의종 2010.04.24 10550
1157 동냥 바람의종 2010.04.24 11572
1156 웃, 윗 바람의종 2010.04.24 10712
1155 도매급으로 넘기다 바람의종 2010.04.24 14086
1154 효능, 효과 바람의종 2010.04.25 10779
1153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64
1152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223
1151 어미 ‘ㄹ걸’ 바람의종 2010.04.25 10695
1150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94
1149 재다, 메우다, 메기다 바람의종 2010.04.25 167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