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4 16:52

깃들다, 깃들이다

조회 수 971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깃들다, 깃들이다

'나무·바위 같은 자연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그 연극엔 해학과 풍자가 '깃들어' 있다.'' 의식주와 생활 속에 '깃들여' 있는 토박이말의 어휘와 풀이를 담았다./ 경주엔 예지와 숨결이 '깃들여' 있는 문화유산이 많다.'

앞글에서와 같이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대부분의 사전이 '깃들이다'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어 아직 많은 사람이 '깃들다'와 '깃들이다'의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 같다. 그러나 '깃들다'와 '깃들이다'는 의미가 다르므로 구분해 써야 한다.

'깃들다'는 '거리엔 어느새 황혼이 깃들었다/ 마을에 살며시 깃드는 달큼한 향기가 그리웠다'처럼 '아늑하게 서려 들다', '올올이 짠 스웨터엔 어머니의 정성이 깃들었다'처럼 '감정·생각·노력 따위가 어리거나 스며 있다'의 의미로 쓰인다. '깃들다'에서 '깃'은 새의 둥지를 뜻한다. '깃'은 본래 '집'이란 말과 동일한 어원에서 유래했다. 옛말 '짓'이 '깃'과 '집'으로 나뉘었는데 '깃'은 새의 둥지를,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을 의미하게 됐다.

'깃'은 '지름'이 '기름'으로 변한 것처럼 'ㅈ'음이 구개음화 현상으로'ㄱ'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므로 '깃들다'는 본래 '집에 들다''둥지에 들다'라는 뜻인데 그 뜻이 추상적으로 바뀌었다. '깃들이다'는 '여우도 제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다'처럼 '짐승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그 속에 들어 살다', '우리 명산에는 곳곳에 사찰이 깃들여 있다'처럼 '사람이나 건물 따위가 어디에 살거나 그곳에 자리 잡다'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21
1170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12
1169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16
1168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16
1167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18
1166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20
1165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21
1164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027
1163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030
1162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34
1161 북망산 가다 바람의종 2008.01.14 10037
1160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37
1159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38
1158 금일봉 바람의종 2007.06.06 10044
1157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45
1156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054
1155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060
1154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1153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63
1152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65
1151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69
1150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071
1149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