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4 16:52

깃들다, 깃들이다

조회 수 972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깃들다, 깃들이다

'나무·바위 같은 자연에는 영혼이 '깃들어' 있다./ 그 연극엔 해학과 풍자가 '깃들어' 있다.'' 의식주와 생활 속에 '깃들여' 있는 토박이말의 어휘와 풀이를 담았다./ 경주엔 예지와 숨결이 '깃들여' 있는 문화유산이 많다.'

앞글에서와 같이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전까지 대부분의 사전이 '깃들이다'만을 표준어로 삼고 있어 아직 많은 사람이 '깃들다'와 '깃들이다'의 의미를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 같다. 그러나 '깃들다'와 '깃들이다'는 의미가 다르므로 구분해 써야 한다.

'깃들다'는 '거리엔 어느새 황혼이 깃들었다/ 마을에 살며시 깃드는 달큼한 향기가 그리웠다'처럼 '아늑하게 서려 들다', '올올이 짠 스웨터엔 어머니의 정성이 깃들었다'처럼 '감정·생각·노력 따위가 어리거나 스며 있다'의 의미로 쓰인다. '깃들다'에서 '깃'은 새의 둥지를 뜻한다. '깃'은 본래 '집'이란 말과 동일한 어원에서 유래했다. 옛말 '짓'이 '깃'과 '집'으로 나뉘었는데 '깃'은 새의 둥지를, '집'은 사람이 사는 곳을 의미하게 됐다.

'깃'은 '지름'이 '기름'으로 변한 것처럼 'ㅈ'음이 구개음화 현상으로'ㄱ'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러므로 '깃들다'는 본래 '집에 들다''둥지에 들다'라는 뜻인데 그 뜻이 추상적으로 바뀌었다. '깃들이다'는 '여우도 제 굴이 있고, 공중에 나는 새도 깃들일 곳이 있다'처럼 '짐승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그 속에 들어 살다', '우리 명산에는 곳곳에 사찰이 깃들여 있다'처럼 '사람이나 건물 따위가 어디에 살거나 그곳에 자리 잡다'란 뜻으로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30
1170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31
1169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65
1168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05
1167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006
1166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38
1165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38
1164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1930
1163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032
1162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382
1161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25
1160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15
1159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09
1158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51
1157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70
1156 겯다 바람의종 2010.08.06 10601
1155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03
1154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30
1153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05
1152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080
1151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23
1150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697
1149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39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