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2 22:34

삼촌, 서방님, 동서

조회 수 1114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촌, 서방님, 동서

미국에 이민 가 계시는 형수님에게서 국제전화가 왔다. 시시콜콜한 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을 통화했다. "삼촌, 잘 지내시죠. 애들도 잘 자라고, 고모도 회사 잘 다니죠?" "그럼요. 형님네도 다들 안녕하시죠. 형수님도 건강하시고요?" 윗글에 나오는 대화 내용 중 아이들이 사용하는 호칭인 '삼촌' '고모' 같은 표현으로 시동생이나 시누이를 부르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결혼하지 않은 시동생은 '도련님'이라 하고, 결혼한 후에는 '서방님'이라 칭한다. '서방님'은 '남편'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하지만 남편을 의미하는 '서방님'은 오늘날엔 거의 쓰이지 않는 옛말투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정한 표준화법에서 남편에 대한 호칭어로 '여보, ○○씨, ○○아버지, ○○아빠, 영감, ○○할아버지' 등으로 정하고 '서방님'은 넣지 않은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결혼한 시동생과 남편을 동시에 언급할 때에는 남편에 대한 호칭을 다른 것으로 바꿔 쓰는 것이 좋다. 남편의 형에게는 '아주버님'이라 칭하고, 남편의 누나는 '형님'이라 부른다. 간혹 남편의 누나를 친근감의 표시로 '언니'라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맞지 않는 표현이다. 시동생의 아내는 '동서'로 부르는 것이 옳다. 손위 동서에 대해선 언제나 '형님'으로 부르고 존댓말을 써야 한다. 한편 손아래 동서라도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때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호칭은 그대로 '동서'라 칭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9
1170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45
1169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825
1168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79
1167 -스럽다 바람의종 2010.08.14 9150
1166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82
1165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687
1164 홍길동이라고 합니다 바람의종 2010.08.14 12087
1163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138
1162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8
1161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80
1160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9
1159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4
1158 숫자의 속음들 바람의종 2010.08.06 8289
1157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92
1156 겯다 바람의종 2010.08.06 10637
1155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39
1154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70
1153 설레다 바람의종 2010.08.05 8529
1152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106
1151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87
1150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839
1149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40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