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8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가사의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혼이 담긴 전래 민요다. 여기에 나오는 '10리'는 몇 ㎞일까? 옛날 학교나 장터 등 보통 5리, 10리는 그냥 걸어다녔다. 그 거리를 생각하면 10리는 약 4㎞가 맞다. '10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는 얼마 못 가서 발병 난다는 뜻으로, 10리가 40㎞라면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그러나 수첩이나 인터넷의 도량형환산표에는 1리가 약 4㎞(10리는 40㎞)라고 나와 있다. 정부 부서에 문의했더니 이게 맞다고 한다. 리(里)는 척관법의 하나다. 척관법은 길이의 기본단위로 자 또는 척(尺), 무게의 기본단위로 관(貫)을 쓰는 것이다. 시대마다 기준이 달라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비슷했다. 1902년에는 미터법과 일본의 도량형 제도로 개정되면서 일본의 곡척(曲尺)이 척도의 기본이 됐다. 이때도 큰 차이 없이 10리는 약 4㎞다. 1961년에야 국제기준에 따라 새 미터법을 채택하게 된다. 하지만 1리가 약 3.9㎞로 정해짐으로써 10리는 약 40㎞가 된다. 이전과 열 배 차이가 난다. 속사정은 알 수 없지만 '10리=약 40km'는 문제가 있다. 사전에도 아직 1리는 약 0.4km라고 돼 있다. 10리를 4㎞로 보는 게 옳다. 그래야 '아리랑'의 '십리', '삼천리 금수강산'의 '삼천리'가 성립한다. 이제 '리'는 쓸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없다고 하지만, 어디 그런가. '아리랑'과 마찬가지로 '리'에도 우리의 정서가 배어 있는 게 아닌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8
1170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86
1169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7
116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4
1167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98
»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88
116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66
1164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29
1163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1162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79
1161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8
1160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49
1159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0
1158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00
1157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75
1156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18
1155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7
1154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4
1153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55
1152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75
1151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08
115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82
1149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