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72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밥을 하기 위해 쌀을 씻어서 솥에 펴 넣는 일을 두고 흔히 쌀을 '앉히다'라고 잘못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는 '안치다'를 써야 하는데 소리가 비슷한 까닭에 착각하여 '앉히다'를 사용하는 것이다. '앉히다'는 '앉게 하다'라는 뜻으로 '아이를 무릎에 앉히다' '학생을 의자에 앉혔다' '그는 딸을 앞에 앉혀 놓고 잘못을 타일렀다'처럼 쓴다. 한편 '안치다'는 '밥·떡·구이·찌개 따위를 만들기 위해 그 재료를 솥이나 냄비 따위에 넣다'라는 뜻이다.

음식과 관련해 또 가끔 잘못 쓰는 것이 '묻히다'와 '무치다'이다. 인절미를 만드는 걸 보면 찹쌀을 시루에 쪄서 베 보자기에 쏟아 부은 다음 잘 싸서 대충 으깬다. 그 다음 보자기를 벗기고 안에 든 찹쌀 뭉치를 떡메로 치게 된다. 그 후 잘 찧어진 뭉치를 손에 물을 발라 가며 가늘고 납작하게 만들어 썬 후 고물을 묻힌다. 이때의 '묻히다'는 '묻다'의 사동사다. 즉 '묻게 한다'는 뜻이다. 인절미의 경우에는 콩가루나 팥고물 등을 떡에 묻게 하는 것이므로 '묻히다'로 쓰는 게 맞다.

그럼 '무치다'는 어떤 때 쓸까? 무치다는 '나물 따위에 갖은 양념을 넣고 골고루 한데 뒤섞다'라는 뜻이다. '열무를 된장에 무치다' '콩나물 무침'처럼 쓴다. 그러므로 '제사 준비를 위해 전을 부치고 떡을 만들고 나물을 묻혔다.' '등산 중 점심시간에 먹은 생나물 묻힘과 참치 찌개는 일품이었다' 등에 나오는 '묻혔다'는 '무쳤다'로, '묻힘'은 '무침'으로 고쳐야 제대로 뜻이 통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9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46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72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11
»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28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1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82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89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62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63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5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209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75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667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504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28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9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5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83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9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