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8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서울 북한산의 옛 이름은 삼각산이다. 주봉인 백운대(830m)를 인수봉(810m)과 만경대(800m)가 굳건히 지키는 모습이다. 1998년 여름 본지 기자가 개성 쪽에서 찍은 북한산 사진을 보면 세 봉우리가 정립(鼎立)한 모양새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늘로 활짝 열린 세 봉우리 모두 바위투성이어서 일반인은 오르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백운대는 바위를 깎아 발 디딜 곳을 만들고 쇠 난간을 박아 외곬로 길이 나 있지만 인수봉과 만경대는 사람들의 발길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위 글에서 '외곬로'는 '외곬으로'의 오기다. 조사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는 '으로'로 적어야 한다. 흔히 외곬의 발음[외골]에 이끌려 'ㄹ'로 끝나는 것으로 착각해 '외곬으로'로 적어야 할 것을 '외곬로'로 잘못 쓰는 것이다.

1999년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펴냄)은 예전에 '외곬'으로 표기하던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이란 뜻으로 '외골수'를 인정했다. '나비만을 연구하는 외골수 학자'와 같이 쓰인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외통),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의미로 쓰인다.

'-투성이어서'는 '-투성이여서'를 잘못 쓴 것이다. '(친한) 사이여서'를 '사이어서'로 쓰지 않는 것과 같다. '-투성이여서'는 '-투성이+이+어서'로 분석된다. '이+어서'는 '되+어'가 '돼'로 되는 것처럼 '여서'로 축약된다. '-투성이어서'로 헷갈려 쓰는 것은 접미사 '-투성이'를 '-투성'으로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6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02
1170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8028
1169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7
»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5
1167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16
1166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716
116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69
1164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32
1163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1162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92
1161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8
1160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51
1159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24
1158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620
1157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80
1156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858
1155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27
1154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77
1153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62
1152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86
1151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1016
115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45
1149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