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40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서울 북한산의 옛 이름은 삼각산이다. 주봉인 백운대(830m)를 인수봉(810m)과 만경대(800m)가 굳건히 지키는 모습이다. 1998년 여름 본지 기자가 개성 쪽에서 찍은 북한산 사진을 보면 세 봉우리가 정립(鼎立)한 모양새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늘로 활짝 열린 세 봉우리 모두 바위투성이어서 일반인은 오르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백운대는 바위를 깎아 발 디딜 곳을 만들고 쇠 난간을 박아 외곬로 길이 나 있지만 인수봉과 만경대는 사람들의 발길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위 글에서 '외곬로'는 '외곬으로'의 오기다. 조사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는 '으로'로 적어야 한다. 흔히 외곬의 발음[외골]에 이끌려 'ㄹ'로 끝나는 것으로 착각해 '외곬으로'로 적어야 할 것을 '외곬로'로 잘못 쓰는 것이다.

1999년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펴냄)은 예전에 '외곬'으로 표기하던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이란 뜻으로 '외골수'를 인정했다. '나비만을 연구하는 외골수 학자'와 같이 쓰인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외통),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의미로 쓰인다.

'-투성이어서'는 '-투성이여서'를 잘못 쓴 것이다. '(친한) 사이여서'를 '사이어서'로 쓰지 않는 것과 같다. '-투성이여서'는 '-투성이+이+어서'로 분석된다. '이+어서'는 '되+어'가 '돼'로 되는 것처럼 '여서'로 축약된다. '-투성이어서'로 헷갈려 쓰는 것은 접미사 '-투성이'를 '-투성'으로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62
1170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90
1169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11
1168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98
1167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1166 어간에서 ‘하’의 줄임 바람의종 2010.02.23 10827
116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9
116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47
1163 어금지금하다 바람의종 2010.01.08 10575
1162 어기여차 바람의종 2012.10.30 11909
1161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48
1160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1159 어눅이 바람의종 2009.06.15 6804
1158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83
1157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477
1156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904
1155 어딜 갈려고 바람의종 2009.12.18 8090
1154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207
1153 어떡해, 어떻게, 어떻해 바람의종 2008.09.27 9660
1152 어떡해,어떻게 바람의종 2010.02.08 9433
1151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561
1150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473
1149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風文 2022.09.21 13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