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37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서울 북한산의 옛 이름은 삼각산이다. 주봉인 백운대(830m)를 인수봉(810m)과 만경대(800m)가 굳건히 지키는 모습이다. 1998년 여름 본지 기자가 개성 쪽에서 찍은 북한산 사진을 보면 세 봉우리가 정립(鼎立)한 모양새를 확연히 알 수 있다. 하늘로 활짝 열린 세 봉우리 모두 바위투성이어서 일반인은 오르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백운대는 바위를 깎아 발 디딜 곳을 만들고 쇠 난간을 박아 외곬로 길이 나 있지만 인수봉과 만경대는 사람들의 발길을 쉽게 허락하지 않는다.'

위 글에서 '외곬로'는 '외곬으로'의 오기다. 조사 '로'는 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붙는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는 '으로'로 적어야 한다. 흔히 외곬의 발음[외골]에 이끌려 'ㄹ'로 끝나는 것으로 착각해 '외곬으로'로 적어야 할 것을 '외곬로'로 잘못 쓰는 것이다.

1999년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펴냄)은 예전에 '외곬'으로 표기하던 '단 한 곳으로만 파고드는 사람'이란 뜻으로 '외골수'를 인정했다. '나비만을 연구하는 외골수 학자'와 같이 쓰인다. 외곬은 '단 한 곳으로만 트인 길(외통), 단 하나의 방법이나 방향'이란 의미로 쓰인다.

'-투성이어서'는 '-투성이여서'를 잘못 쓴 것이다. '(친한) 사이여서'를 '사이어서'로 쓰지 않는 것과 같다. '-투성이여서'는 '-투성이+이+어서'로 분석된다. '이+어서'는 '되+어'가 '돼'로 되는 것처럼 '여서'로 축약된다. '-투성이어서'로 헷갈려 쓰는 것은 접미사 '-투성이'를 '-투성'으로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590
2292 대박 바람의종 2009.05.25 6138
2291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75
2290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52
2289 쌉싸름하다 바람의종 2009.05.21 11951
2288 며칠 바람의종 2009.05.21 7045
2287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798
2286 눈곱, 눈살, 눈썰미, 눈썹 바람의종 2009.05.20 10994
2285 연신, 연거푸 바람의종 2009.05.17 8833
2284 세꼬시 바람의종 2009.05.17 7509
2283 유례 / 유래 바람의종 2009.05.15 9448
2282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99
2281 '~적' 줄여 쓰기 바람의종 2009.05.12 11773
2280 비박 바람의종 2009.05.12 8460
2279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88
2278 과녁, 이녁, 새벽녘, 저물녘 바람의종 2009.05.09 12200
2277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44
2276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71
2275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60
227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28
2273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26
2272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50
2271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