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4 00:42

연도 / 년도

조회 수 2799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연도 / 년도

'사업 연도, 회계 연도/ 신년도, 구년도, 2004년도 예산안'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연도/년도(年度)'가 어떨 때는 '연도'로, 어떨 때는 '년도'로 쓰여 그 이유가 궁금할 것이다. 이를 혼동해 쓰는 경우도 보인다.

'연도'는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해 편의상 구분한 일년의 기간을 뜻하는 명사로 '사업 연도, 회계 연도'처럼 쓴다.'년도'는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뜻하는 의존명사로 '2005년도 예산안'처럼 쓴다.

한글 맞춤법에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냥, 냥쭝, 년'과 같은 의존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고 규정돼 있다. 또한 붙임 규정에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도 '신여성, 공염불'같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 '남존여비' 같은 합성어, '서울여자대학교'처럼 둘 이상의 단어로 이뤄진 고유명사도 두음법칙이 적용된다'라고 돼 있다.

'사업 연도, 회계 연도'는 각각 '사업'과 '연도', '회계'와 '연도'가 이어져 이뤄진 말로 말의 첫머리이므로 두음법칙을 적용해 '연도'로 적어야 옳다. 다만 같은 '年度'라 하더라도 '新年+度, 舊年+度'와 같이 분석되는 합성어는 '신년도, 구년도'로 적는다.

참고로 '생년월일'의 경우는 '생'과 '연월일'이나 '생년'과 '월일'이 결합된 합성어의 경우도 아니고, '신여성'처럼 '생'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도 아니다. '생년월일'은 '생년+생월+생일'을 줄여 이르는 말이므로 '생년월일'로 적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11
1170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72
1169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74
1168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78
1167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79
1166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79
1165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80
1164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81
1163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83
11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84
1161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84
1160 방화 바람의종 2010.09.04 10090
1159 억지 춘향 바람의종 2008.01.26 10091
1158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1157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02
1156 밭다리? 밧다리? 바람의종 2010.08.05 10103
1155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03
1154 안녕하세요 바람의종 2010.05.30 10107
1153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112
1152 ‘-이’와 ‘-히’의 구별 바람의종 2010.08.11 10114
1151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16
1150 주어와 술어 바람의종 2009.07.15 10121
1149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