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34

피난, 피란

조회 수 1038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난, 피란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두 형제의 엇갈린 운명을 그린 전쟁영화. 1100만명이 넘는 관객을 동원한 한국 영화의 기념비적 흥행작 '태극기 휘날리며'가 있다. 집안의 희망이자 어머니의 꿈인 동생의 생존을 위해 형은 전쟁영웅을 자처한다. 이념보다 생존을 위해 처절하게 몸부림쳤던 두 형제의 파란만장한 이야기가 줄거리다. 영화 속에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후퇴하는 장면에서 구름떼처럼 몰려드는 피란민이 등장한다.

'피난'과 '피란'은 어떻게 다를까. '피난(避難)'은 재난을 피하여 멀리 옮겨 가는 것을 말하고, '피란(避亂)'은 난리를 피하여 옮겨 간다는 뜻이다. '피란'은 전쟁에만 한정된 의미지만 '피난'은 '지진·홍수' 등의 재난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뜻을 지닌다. '태풍 '사라'가 강타하는 바람에 마을 사람들은 피난을 떠났다'와 같은 예문엔 '피난'은 쓸 수 있으나 '피란'은 쓸 수 없다. 그러나 '전쟁으로 마을 사람들은 피란(피난)을 떠났다'처럼 '전쟁'의 경우 국립국어연구원은 둘 다 인정하고 있다.

'피난민'은 재난을 피하여 가는 백성이란 의미로 '태풍 '매미'로 임시수용소는 피난민으로 가득 찼다'처럼 쓰인다. '피란민'은 난리를 피하여 가는 백성이란 뜻으로 '1·4후퇴 때 피란민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남으로 가는 열차에 몸을 실었다'처럼 쓴다. 두 단어의 구분은 모호한 면도 있으므로 전쟁에는 '피란'으로, 그 외 천재지변 등에는 '피난'으로 구분해 표기하는 것이 합리적일 듯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137
1940 영부인 바람의종 2009.12.14 8295
1939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5026
1938 쌈마이 바람의종 2009.12.14 9439
1937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27
1936 서나서나 허소! file 바람의종 2009.12.14 8850
1935 애기 바람의종 2009.12.04 7067
1934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405
1933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630
193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10083
1931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9007
1930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206
1929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92
1928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61
1927 아리아리 바람의종 2009.12.01 10918
192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937
1925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925
1924 놉샹이 바람의종 2009.12.01 8547
1923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89
1922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439
1921 차별하는 말 미망인 1 바람의종 2009.11.29 10488
1920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44
1919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