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31

명사형

조회 수 732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명사형

'사물이나 현상은 보는 각도에 따라 아름답거나 추하게, 혹은 부드럽거나 날카롭게 보이기도 합니다. 사회 환경이 어렵지만 배고픈 시절을 이겨낸 선배들처럼 자신감과 희망을 잃지 않고 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생활에 볕이 들고 존재하는 것 자체가 고마운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밑줄 친 부분을 명사 형태로 고쳐 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장을 서술하는 기능이 있는 용언을 명사처럼 활용할 때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위에 제시한 부분을 명사 형태로 고친 것을 인터넷에서 뽑아봤더니 '날카롬·배고품·잃음·살음·모름·듬' 등 갖가지로 표현하고 있군요. '배고품'은'배고픔'이 맞는 표기입니다. '배고프다'의 어간'배고프-'에'ㅁ'이 붙어 명사 형태가 됩니다. 어간에 받침이 없는 '고르다·자르다·보다·모르다' 등은 모두 'ㅁ'을 붙여 '고름·자름·봄·모름'처럼 명사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웃다·먹다·죽다'의 어간 '웃·먹·죽'처럼 받침이 있는 말엔 '잃음'과 같이 '-음'을 붙여 '웃음·먹음·죽음'으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날카롭다'의 어간 '날카롭'처럼 받침에'ㅂ'이 올 때는 조금 다릅니다. 받침'ㅂ'이 'ㅜ'로 변하고, 여기에 'ㅁ'이 붙어 '날카로움'이 됩니다. '즐겁다·놀랍다·무겁다'가 '즐거움·놀라움·무거움' 등으로 변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 이와 달리 'ㄹ'받침으로 끝나는'살다·알다·들다'의 어간 '살·알·들'에 'ㅁ'을 붙여 명사 형태를 만들 때는'ㄹ'을 반드시 살려 '삶·앎·듦'으로 써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0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50
1082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373
1081 오고셍이 돌려줬수왕! file 바람의종 2010.01.11 7371
1080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371
1079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69
1078 로비 바람의종 2008.02.10 7368
1077 성은, 승은, 사약 바람의종 2008.11.18 7367
1076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65
1075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63
1074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63
1073 단골 바람의종 2010.05.18 7362
1072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58
1071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54
1070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51
1069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8
1068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5
1067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42
1066 어미 ‘-디’ 바람의종 2010.07.20 7342
1065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340
1064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40
1063 그라모 어쩝니껴? 바람의종 2010.02.25 7339
1062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39
1061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