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3 03:31

명사형

조회 수 73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명사형

'사물이나 현상은 보는 각도에 따라 아름답거나 추하게, 혹은 부드럽거나 날카롭게 보이기도 합니다. 사회 환경이 어렵지만 배고픈 시절을 이겨낸 선배들처럼 자신감과 희망을 잃지 않고 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생활에 볕이 들고 존재하는 것 자체가 고마운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밑줄 친 부분을 명사 형태로 고쳐 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장을 서술하는 기능이 있는 용언을 명사처럼 활용할 때는 몇 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위에 제시한 부분을 명사 형태로 고친 것을 인터넷에서 뽑아봤더니 '날카롬·배고품·잃음·살음·모름·듬' 등 갖가지로 표현하고 있군요. '배고품'은'배고픔'이 맞는 표기입니다. '배고프다'의 어간'배고프-'에'ㅁ'이 붙어 명사 형태가 됩니다. 어간에 받침이 없는 '고르다·자르다·보다·모르다' 등은 모두 'ㅁ'을 붙여 '고름·자름·봄·모름'처럼 명사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웃다·먹다·죽다'의 어간 '웃·먹·죽'처럼 받침이 있는 말엔 '잃음'과 같이 '-음'을 붙여 '웃음·먹음·죽음'으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날카롭다'의 어간 '날카롭'처럼 받침에'ㅂ'이 올 때는 조금 다릅니다. 받침'ㅂ'이 'ㅜ'로 변하고, 여기에 'ㅁ'이 붙어 '날카로움'이 됩니다. '즐겁다·놀랍다·무겁다'가 '즐거움·놀라움·무거움' 등으로 변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 이와 달리 'ㄹ'받침으로 끝나는'살다·알다·들다'의 어간 '살·알·들'에 'ㅁ'을 붙여 명사 형태를 만들 때는'ㄹ'을 반드시 살려 '삶·앎·듦'으로 써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29
1192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80
1191 복합어와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9 12412
1190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04
1189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35
1188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24
1187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2
1186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49
1185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08
1184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61
1183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48
1182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7
1181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6
1180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22
1179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1
1178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38
1177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24
1176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8
»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0
1174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49
1173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50
1172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19
1171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