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2

칼라, 컬러

조회 수 776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칼라, 컬러

'송출 채널이 100여개가 되는 본격적인 디지털 위성방송이 우리나라에서도 시작됐다. 이것은 1980년 12월 칼라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것보다 더 크고 중요한 방송 기술의 발전이다. 흑백 텔레비전 시대에서 칼라 텔레비전 시대로 바뀌는 과정에 겪었던 것보다 더 많은 변화가 앞으로 전개될 것이다.' '놀랍게도 화이트칼라는 노동조건의 악화를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샌드위치로 점심을 때우면서도 이들은 살아남은 자신을 자랑스러워했다. 착취, 노조, 사보타주는 블루칼라의 단어. …하지만 화이트칼라의 인내도 한계에 도달했다. 착취가 효율을 저하시키는 임계점에 다다른 것이다.'(『화이트칼라의 위기』 서평 중에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color'는 '컬러'로, 'collar'는 '칼라' 로 적도록 돼 있다. 따라서 첫 예문의 '칼라'는 '컬러'로 바로잡아야 한다. 둘째 예문의 '칼라'는 바른 표기다. 컬러는 '빛깔, 색깔, 색상' 등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칼라는 양복이나 와이셔츠 따위의 목 둘레에 길게 덧붙여진 부분을 이르는데 '깃, 옷깃'으로 갈음할 수 있다. '블루칼라(blue-collar)'는 생산현장이나 작업현장에서 육체노동을 하는 근로자들이 주로 푸른색 작업복을 입은 데서 나온 말이고, '화이트칼라(white-collar)'는 주로 사무실에서 정신노동을 하는 근로자들이 흰 와이셔츠를 입은 데서 생긴 말이다. 블루칼라와 화이트칼라는 외래어이므로 우리말로 바꿔 쓰는 것이 더 낫다. 블루칼라는 '푸른 옷깃'으로, 화이트칼라는 '흰 옷깃'으로 대신하면 좋을 듯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67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103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73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1078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2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74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49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44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618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328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733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55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211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84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27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64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460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803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5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209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95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