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3 16:51

우리애기

조회 수 703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애기

'우리 애기 놀란 거 안 보여요? 애기야 가자' '애기야 하드 사줄게. 같이 놀자. 애기야'라는 유행어를 퍼뜨리며 방송사상 최단기간에 시청률 50%를 돌파한 드라마가 있었다. 시청자들은 착하기만 한 여주인공이 조금은 깍쟁이처럼 행동해주기를 바라며 눈시울을 적시기도 했다. 드라마가 끝난 뒤 여자들이 남자에게서 듣고 싶은 말 1위에 오르고,

연인들끼리 서로의 애칭으로도 쓰이는 '애기'라는 단어는 문법적으론 틀린 말이다. 우리말에서 'ㅣ(이)'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들은 방언으로 보아 원칙적으로 표준어로 취급하지 않는다. 'ㅣ'모음 역행동화는 뒤의 'ㅣ'모음 혹은 'ㅣ'모음을 갖고 있는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아 앞의 '아, 어, 오, 우'가 각각 '애, 에, 외, 위'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아기, 손잡이, 어미, 아지랑이, 창피하다' 등을 '애기, 손잽이, 에미, 아지랭이, 챙피하다'라고 적으면 틀린다는 것이다. 여기엔 예외가 있어 '풋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 냄비, 동댕이치다' 등 몇몇 단어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사람들의 일상 언어현실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인색하고 잇속에 밝은 사람 또는 매우 약삭빠른 사람'이란 뜻의 깍쟁이와 혼동하기 쉬운 말에 '깍정이'가 있다. 깍정이는 밤나무나 떡갈나무 등의 열매를 싸고 있는 술잔 모양의 받침이나 조그만 술잔(종지)을 말한다. '경험이 없어서 일에 서투른 사람'이라는 의미의 풋내기는 순우리말로 '풋뜸'이라고 하며, 북한에서는 '생둥이'라고도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69
1192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9989
1191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9993
119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994
1189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6
1188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96
1187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99
1186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01
1185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003
1184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09
1183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10011
1182 다크호스 바람의종 2008.02.04 10011
1181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12
1180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26
1179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29
1178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33
1177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33
1176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38
1175 종달새 바람의종 2009.05.26 10042
1174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44
1173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48
1172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49
1171 이용과 사용 바람의종 2009.05.06 100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