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1 16:26

학여울

조회 수 1066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학여울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란 노랫말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한 사람의 따뜻한 관심은 사회의 활력소로 작용합니다. 매미 소리에 녹음이 짙어갈 무렵 새 우리말 바루기'납량하는 사람들'(22회·8월 3일자)을 보고 50대 중반의 독자께서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셨습니다. '납량→남냥''납양→나'의 발음에 더해 서울 지하철 역'학여울'의 발음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언뜻 보면'학여울'은 '납양→나'처럼 '하겨울'로 발음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에 '합성어 및 접두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 음절이'이·야·여·요·유'인 경우에는'ㄴ'소리를 첨가하여 [니·냐·녀·뇨·뉴]로 발음한다'가 있습니다. 이 규정에 따르면 받침이 'ㄱ'인 말과 '이, 여'로 시작하는 말이 만나면 받침 'ㄱ'은 'ㅇ'으로 바뀌고 뒤 음절의 '이, 여'는 '니, 녀'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색연필[생년필], 늑막염[늑망념], 막일[망닐] 등이 그런 예입니다. 이는 물론 합성어나 접두파생어일 때만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합성어'란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가 결합해 하나의 단어가 된 말입니다. '집안(집+안)' '돌다리(돌+다리)'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여울'도 '학(鶴)'과'여울'의 합성어입니다. 이 때문에 위의 발음 규정에 따라'학여울'에'ㄴ'음이 첨가돼'학녀울'이 된 뒤, 여기에서 자음동화가 일어나'항녀울'이 되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5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371
2270 어간과 어미 바람의종 2009.12.14 10095
2269 양해의 말씀 / 기라성 바람의종 2010.03.23 13181
2268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810
2267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90
2266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716
2265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59
2264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98
2263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839
2262 바람의종 2008.11.22 6114
2261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417
2260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37
2259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32
2258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902
2257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65
2256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66
2255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99
2254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66
2253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483
2252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66
225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460
2250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818
2249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