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48

~되겠, ~되세

조회 수 662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되겠, ~되세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가 되겠고, 비 올 확률은 10%가 되겠습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가 되겠으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한 날씨가 되겠습니다'에서처럼 '~되다(되겠다, 되세요)' 형태를 마구 쓰는 경향이 있다. '구름 조금 끼는 맑은 날씨를 보이겠고, 비 올 확률은 10%입니다. 낮 최고 기온은 25도이며,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하겠습니다'가 적절한 표현이다. '정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총 사업비는 4억원이 되겠습니다' '추석과 한가위는 같은 뜻이 되겠습니다'에서는 '~이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겠다'를 쓴 경우다. '3번입니다' '4억원입니다' 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술·담배를 줄여야 되고, 기름진 음식을 피해야 된다'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 긴장됐다'에서는 '~하다'가 어울리는 자리에 '~되다'를 쓴 경우로, '줄여야 하고' '피해야 한다' '해야 할지' '긴장했다'가 자연스럽다. '좋은 여행 되세요' '좋은 식사 되세요'는 누가 봐도 영어식 표현이다. '부자 되세요'는 나보고 부자가 되라는 소리(나=부자)이므로 말이 되지만, 이들은 뜻이 통하지 않는다. '여행 잘 다녀오세요' '맛있게 드세요'가 적당하다. 한가위가 다가왔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이라는 속담처럼 올해는 어쩐지 마냥 즐겁지마는 않지만, 그래도 그 의미가 변할 수는 없다. '즐거운 추석[명절] 되세요' '즐거운 고향길 되세요' 등의 문구가 곧 등장할 것이다.

우리의 명절날 이왕이면 우리식 표현대로 '추석[명절] 잘(즐겁게) 보내세요' '고향길 잘 다녀오세요'로 하는 게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15
2270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73
2269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2268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2
2267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08
2266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11
2265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38
2264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52
2263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49
2262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2261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8
2260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24
2259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2258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7
2257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29
2256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6
2255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7
2254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64
2253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71
»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23
2251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56
2250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3
2249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