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30 15:38

임대와 임차

조회 수 786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대와 임차

친구끼리는 될 수 있으면 돈 거래를 하지 말라는 말을 가끔 듣는다. 잘못하면 금전도 잃고, 우정도 잃는다는 것이다. 사실 친한 사람끼리 거래를 하다 보면 절차를 소홀히 하기 쉽고, 그것이 빌미가 돼 사이가 소원해지는 경우도 생긴다. 그러므로 친한 사이라 하더라도 영수증·차용증 등을 제대로 갖춰 거래하는 것이 좋다. 서류 작성 때 용어를 정확하게 쓰지 않으면 후에 분쟁이 생길 수 있다.

거래와 관련해 우리가 흔히 잘못 사용하는 것이 '임대'라는 단어다. 임대(賃貸)는 '돈을 받고 자기의 물건을 남에게 빌려 주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그와는 정반대 상황에 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도예가 부부인 박씨와 황씨가 비엔날레 재단으로부터 임대해 운영하고 있는 카페 '빈'은 클럽전의 출품작들을 실내장식 소품으로 활용했다.' '대한체육회 등은 그동안 조정과 카누 경기를 치르기 위해 한강 미사리경기장이나 부산 낙동강경기장을 임대해 사용할 것을 검토했다.' '이 회사는 영업활동 정지 등은 사실이 아니며 원가 절감 차원에서 오릭스로부터 임대했던 계측기를 반납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들 예문은 문맥을 볼 때 모두 건물·경기장·기계 등을 자신이 '빌린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다'는 뜻인 '임대'를 사용하면 의도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세 예문 모두 '임차(賃借)'로 써야 한다. '임차'는 '돈을 내고 남의 물건을 빌려 쓰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98
1192 애저녁에 / 애초에 바람의종 2012.08.16 14998
119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90
1190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9
1189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84
1188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26
1187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81
118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2
1185 야마, 땡깡, 무데뽀 바람의종 2009.07.16 10057
118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21
118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59
1182 야지 바람의종 2008.02.17 6886
1181 야채 / 채소 바람의종 2009.09.01 6747
1180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54
1179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4
1178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64
1177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8
1176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87
1175 바람의종 2008.11.22 6106
1174 양동작전 바람의종 2008.09.20 7793
1173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37
1172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38
1171 양수겹장 / 양수겸장 바람의종 2012.07.25 306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