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6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딴지'라는 말이 우리 눈과 귀에 아주 익숙해진 것은 아마도 1998년 7월 '딴지일보'가 창간되면서부터인 듯싶다. 이 신문 관계자들이 표준어인 '딴죽'이 있음을 잘 알면서도 일부러 '딴지'를 쓴 것은 실생활에서 '딴죽'보다 '딴지'가 더 많이 쓰이고 발음하기 쉬워서인 것 같다. '주5일 근무제에 딴지를 걸다' '대통령의 개혁에 어떻게든 딴지를 걸어 보려는 야당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뿐 아니라 『과학교과서, 영화에 딴지 걸다』라는 책까지 나올 만큼 많이 쓰이고 있으나, 고유명사는 예외로 하고 일반 문장에서는 표준어인 '딴죽'이라고 해야 한다.

'딴죽'은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을 말한다. 주로'딴죽 걸다[치다]' 형태로 쓰이는데 원래 뜻에서 확장돼 '이미 동의했거나 약속했던 일을 딴전 부리며 어기다'란 의미로 쓰기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비비다'를 '부비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이모는 눈물을 흘리며 이모부의 사진을 자기 뺨에 자꾸만 부볐다.' '밖에서 흙을 만지며 노느라 더러워진 손으로 눈을 부비면 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부비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이들 문장의 '부볐다''부비면'은 '비볐다''비비면'으로 고쳐야 한다. '비비다'에는 '두 물체를 맞대어 문지르다'외에 '어떤 재료에 다른 재료를 넣어 한데 버무리다, 어떤 물건이나 재료를 두 손바닥 사이에 놓고 움직여서 뭉치거나 꼬이는 상태가 되게 하다' 등의 뜻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0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429
1962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7
1961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43
1960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340
1959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38
1958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36
1957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9331
1956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28
1955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26
1954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19
1953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318
1952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315
1951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3
1950 바람의종 2007.09.22 9311
1949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1
1948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10
1947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7
1946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304
1945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302
1944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302
1943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4
1942 바람의종 2012.07.27 9289
1941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