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1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딴지'라는 말이 우리 눈과 귀에 아주 익숙해진 것은 아마도 1998년 7월 '딴지일보'가 창간되면서부터인 듯싶다. 이 신문 관계자들이 표준어인 '딴죽'이 있음을 잘 알면서도 일부러 '딴지'를 쓴 것은 실생활에서 '딴죽'보다 '딴지'가 더 많이 쓰이고 발음하기 쉬워서인 것 같다. '주5일 근무제에 딴지를 걸다' '대통령의 개혁에 어떻게든 딴지를 걸어 보려는 야당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뿐 아니라 『과학교과서, 영화에 딴지 걸다』라는 책까지 나올 만큼 많이 쓰이고 있으나, 고유명사는 예외로 하고 일반 문장에서는 표준어인 '딴죽'이라고 해야 한다.

'딴죽'은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을 말한다. 주로'딴죽 걸다[치다]' 형태로 쓰이는데 원래 뜻에서 확장돼 '이미 동의했거나 약속했던 일을 딴전 부리며 어기다'란 의미로 쓰기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비비다'를 '부비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이모는 눈물을 흘리며 이모부의 사진을 자기 뺨에 자꾸만 부볐다.' '밖에서 흙을 만지며 노느라 더러워진 손으로 눈을 부비면 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부비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이들 문장의 '부볐다''부비면'은 '비볐다''비비면'으로 고쳐야 한다. '비비다'에는 '두 물체를 맞대어 문지르다'외에 '어떤 재료에 다른 재료를 넣어 한데 버무리다, 어떤 물건이나 재료를 두 손바닥 사이에 놓고 움직여서 뭉치거나 꼬이는 상태가 되게 하다' 등의 뜻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44
2468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593
246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591
2466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88
2465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586
2464 아내와 부인 바람의종 2010.03.19 10585
2463 돈 깨나 있냐? / 돈은 커녕 바람의종 2010.03.18 10585
2462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4
2461 날 뭘로 보고! 바람의종 2011.12.12 10580
2460 아지랑이, 아지랭이 바람의종 2009.07.07 10579
2459 주책 바람의종 2010.07.12 10576
2458 내지 바람의종 2009.05.24 10575
2457 들추다, 들치다 바람의종 2009.11.24 10575
2456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574
2455 봉두난발 바람의종 2007.11.05 10570
2454 탕비실 바람의종 2010.07.23 10570
2453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569
2452 여운을 남기다 바람의종 2010.02.07 10567
2451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66
2450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64
2449 명태의 이름 바람의종 2010.05.05 10556
2448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555
2447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