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1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딴지'라는 말이 우리 눈과 귀에 아주 익숙해진 것은 아마도 1998년 7월 '딴지일보'가 창간되면서부터인 듯싶다. 이 신문 관계자들이 표준어인 '딴죽'이 있음을 잘 알면서도 일부러 '딴지'를 쓴 것은 실생활에서 '딴죽'보다 '딴지'가 더 많이 쓰이고 발음하기 쉬워서인 것 같다. '주5일 근무제에 딴지를 걸다' '대통령의 개혁에 어떻게든 딴지를 걸어 보려는 야당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뿐 아니라 『과학교과서, 영화에 딴지 걸다』라는 책까지 나올 만큼 많이 쓰이고 있으나, 고유명사는 예외로 하고 일반 문장에서는 표준어인 '딴죽'이라고 해야 한다.

'딴죽'은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을 말한다. 주로'딴죽 걸다[치다]' 형태로 쓰이는데 원래 뜻에서 확장돼 '이미 동의했거나 약속했던 일을 딴전 부리며 어기다'란 의미로 쓰기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비비다'를 '부비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이모는 눈물을 흘리며 이모부의 사진을 자기 뺨에 자꾸만 부볐다.' '밖에서 흙을 만지며 노느라 더러워진 손으로 눈을 부비면 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부비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이들 문장의 '부볐다''부비면'은 '비볐다''비비면'으로 고쳐야 한다. '비비다'에는 '두 물체를 맞대어 문지르다'외에 '어떤 재료에 다른 재료를 넣어 한데 버무리다, 어떤 물건이나 재료를 두 손바닥 사이에 놓고 움직여서 뭉치거나 꼬이는 상태가 되게 하다' 등의 뜻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9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4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361
1500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7
1499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32
1498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45
1497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3
149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76
1495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583
1494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47
1493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2
1492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1491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89
»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17
1489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바람의종 2009.03.29 10523
1488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596
1487 복합어와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9 12399
1486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62
1485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18
1484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86
1483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22
1482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60
1481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56
1480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13
1479 한번, 한 번 바람의종 2009.03.26 7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