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57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딴지'라는 말이 우리 눈과 귀에 아주 익숙해진 것은 아마도 1998년 7월 '딴지일보'가 창간되면서부터인 듯싶다. 이 신문 관계자들이 표준어인 '딴죽'이 있음을 잘 알면서도 일부러 '딴지'를 쓴 것은 실생활에서 '딴죽'보다 '딴지'가 더 많이 쓰이고 발음하기 쉬워서인 것 같다. '주5일 근무제에 딴지를 걸다' '대통령의 개혁에 어떻게든 딴지를 걸어 보려는 야당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뿐 아니라 『과학교과서, 영화에 딴지 걸다』라는 책까지 나올 만큼 많이 쓰이고 있으나, 고유명사는 예외로 하고 일반 문장에서는 표준어인 '딴죽'이라고 해야 한다.

'딴죽'은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을 말한다. 주로'딴죽 걸다[치다]' 형태로 쓰이는데 원래 뜻에서 확장돼 '이미 동의했거나 약속했던 일을 딴전 부리며 어기다'란 의미로 쓰기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비비다'를 '부비다'로 잘못 쓰는 사람도 많다. '이모는 눈물을 흘리며 이모부의 사진을 자기 뺨에 자꾸만 부볐다.' '밖에서 흙을 만지며 노느라 더러워진 손으로 눈을 부비면 눈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

'부비다'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이들 문장의 '부볐다''부비면'은 '비볐다''비비면'으로 고쳐야 한다. '비비다'에는 '두 물체를 맞대어 문지르다'외에 '어떤 재료에 다른 재료를 넣어 한데 버무리다, 어떤 물건이나 재료를 두 손바닥 사이에 놓고 움직여서 뭉치거나 꼬이는 상태가 되게 하다' 등의 뜻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3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624
1170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608
1169 뚱딴지같다 바람의종 2008.01.05 6857
1168 뚱딴지 바람의종 2008.02.02 8317
1167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30
1166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700
1165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1027
1164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994
1163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41
1162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70
1161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959
1160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2165
1159 떼기, 뙈기 바람의종 2008.11.02 7015
1158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28
1157 떡해먹을 집안이다 바람의종 2008.01.04 8308
1156 떡볶이 / 떡볶기, 손톱깎이 / 손톱깍기 바람의종 2010.02.21 11074
1155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7003
1154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99
1153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42
1152 땡잡다 바람의종 2008.02.23 6852
1151 땜빵 바람의종 2009.11.29 21439
1150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68
1149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