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50

복합어와 띄어쓰기 3

조회 수 1052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돈은 없고, 굴비만 있습니다. ' 요즘 한가위를 앞두고 굴비를 선물하면서 이런 우스개를 건넨다고 한다. 최근 모 자치단체장에게 2억원이 담긴 굴비상자가 전달된 상황을 빗댄 것이다.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는 돈'을 '검은돈'이라고 한다. '검은 마음'이 문제지, '돈이 무슨 죄'이지 싶다.

구린내 나는 '검은돈'은 합성어고, (만일 있다면) 색깔이 '검은 돈'은 두 낱말이다. 복합어는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파생어와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합성어로 나뉜다. 파생어는 '맨(접두사)+손' '부채+질(접미사)의 형태로 '맨손·부채질'처럼 붙여 쓴다. 전형적인 합성어는 '작은형(맏형이 아닌 형)' '먹고살기(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세상'처럼 두 요소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키가 작은 형' '이슬만 먹고 살다'에서와 달리 하나의 낱말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치고받다'는 '말로 다투거나 실제로 때리면서 싸우다'는 뜻의 복합어다. 이처럼 어떤 낱말이 복합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미심쩍으면 사전을 들춰 확인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전을 펼쳐 보되 뜻풀이까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 더욱이 '한번 해보자', '함께하다/함께 하다' 등에서 보듯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예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낱말이 쓰인 문맥에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어렵기도 하지만 궁구(窮究)할수록 우리말의 깊이를 더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30
1830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054
1829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26
1828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04
1827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82
1826 삼수갑산 바람의종 2010.03.07 10062
1825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156
1824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35
1823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99
1822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22
182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67
1820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95
1819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82
1818 살쾡이 file 바람의종 2009.07.15 6110
1817 살코기 바람의종 2009.10.08 7580
1816 살처분 바람의종 2010.10.30 7343
1815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78
1814 살짝궁, 살짜궁 / 살짝이, 살짜기 바람의종 2010.12.19 11166
1813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93
1812 살얼음 / 박빙 바람의종 2010.10.30 10230
1811 살아 진천 죽어 용인 바람의종 2008.01.15 16443
1810 살사리꽃 바람의종 2009.09.07 7104
1809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