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50

복합어와 띄어쓰기 3

조회 수 1052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돈은 없고, 굴비만 있습니다. ' 요즘 한가위를 앞두고 굴비를 선물하면서 이런 우스개를 건넨다고 한다. 최근 모 자치단체장에게 2억원이 담긴 굴비상자가 전달된 상황을 빗댄 것이다.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는 돈'을 '검은돈'이라고 한다. '검은 마음'이 문제지, '돈이 무슨 죄'이지 싶다.

구린내 나는 '검은돈'은 합성어고, (만일 있다면) 색깔이 '검은 돈'은 두 낱말이다. 복합어는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파생어와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합성어로 나뉜다. 파생어는 '맨(접두사)+손' '부채+질(접미사)의 형태로 '맨손·부채질'처럼 붙여 쓴다. 전형적인 합성어는 '작은형(맏형이 아닌 형)' '먹고살기(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세상'처럼 두 요소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키가 작은 형' '이슬만 먹고 살다'에서와 달리 하나의 낱말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치고받다'는 '말로 다투거나 실제로 때리면서 싸우다'는 뜻의 복합어다. 이처럼 어떤 낱말이 복합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미심쩍으면 사전을 들춰 확인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전을 펼쳐 보되 뜻풀이까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 더욱이 '한번 해보자', '함께하다/함께 하다' 등에서 보듯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예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낱말이 쓰인 문맥에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어렵기도 하지만 궁구(窮究)할수록 우리말의 깊이를 더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20
1962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59
1961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259
1960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58
1959 한잔, 한 잔 바람의종 2009.07.22 9258
1958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56
1957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4
1956 바람의종 2012.07.27 9247
1955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46
1954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242
1953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241
1952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40
1951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950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38
1949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238
1948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237
1947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37
1946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35
1945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4
1944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34
1943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32
1942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0
1941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