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50

복합어와 띄어쓰기 3

조회 수 10534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합어와 띄어쓰기 3


'돈은 없고, 굴비만 있습니다. ' 요즘 한가위를 앞두고 굴비를 선물하면서 이런 우스개를 건넨다고 한다. 최근 모 자치단체장에게 2억원이 담긴 굴비상자가 전달된 상황을 빗댄 것이다.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는 돈'을 '검은돈'이라고 한다. '검은 마음'이 문제지, '돈이 무슨 죄'이지 싶다.

구린내 나는 '검은돈'은 합성어고, (만일 있다면) 색깔이 '검은 돈'은 두 낱말이다. 복합어는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파생어와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합성어로 나뉜다. 파생어는 '맨(접두사)+손' '부채+질(접미사)의 형태로 '맨손·부채질'처럼 붙여 쓴다. 전형적인 합성어는 '작은형(맏형이 아닌 형)' '먹고살기(생계를 유지하기) 힘든 세상'처럼 두 요소가 합쳐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키가 작은 형' '이슬만 먹고 살다'에서와 달리 하나의 낱말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치고받다'는 '말로 다투거나 실제로 때리면서 싸우다'는 뜻의 복합어다. 이처럼 어떤 낱말이 복합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미심쩍으면 사전을 들춰 확인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전을 펼쳐 보되 뜻풀이까지 꼼꼼히 챙겨야 한다. 더욱이 '한번 해보자', '함께하다/함께 하다' 등에서 보듯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예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낱말이 쓰인 문맥에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어렵기도 하지만 궁구(窮究)할수록 우리말의 깊이를 더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19
1192 참 그놈 간풀구만! 바람의종 2010.04.10 12529
1191 노가리 바람의종 2010.04.10 13674
1190 접두사 ‘새-’와 ‘샛-’ 바람의종 2010.04.10 12421
1189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97
1188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32
1187 일상어 몇 마디와 ‘-적’ 바람의종 2010.04.13 12467
1186 울면 file 바람의종 2010.04.13 11019
1185 외곬과 외골수 바람의종 2010.04.13 12942
1184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57
1183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92
1182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880
1181 네거티브 전략 바람의종 2010.04.17 11032
1180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376
1179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86
1178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75
1177 조종, 조정 바람의종 2010.04.17 10963
1176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166
1175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34
1174 ‘-율’과 ‘-률’ 바람의종 2010.04.18 13153
1173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116
1172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10
1171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4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