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48

복합어와 띄어쓰기 2

조회 수 860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너무지개같다'. 어떻게 띄어 썼나요. '무지개처럼 아름답다'고 칭찬했나요. '개처럼 성질이 더럽다'고 욕했나요. 띄어쓰기는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하고 뜻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의미 단위를 벌려 쓰는 것이다. '너 무지개 같다'고 해야 할 것을 '너 무지 개 같다'고 했다면 큰 실례가 아닌가. 맞춤법 총칙 제2항과 제5장은 띄어쓰기에 대해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 (가운데 줄임)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아래 줄임)'고 규정하고 있다. <자세한 어문 규정은 국립국어연구원 홈페이지(www.korean.go.kr) 참조>

띄어쓰기의 어려움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의존명사인지 조사·접사·어미인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복합어 문제다. 먼저 '조사는 붙여 쓰고,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는 규정을 보자. 우리말엔 같은 형태라도 쓰임에 따라 품사가 달라지는 단어가 적지 않다. '뿐, 만큼, 만' 등은 의존명사로도, 조사로도 쓰인다.

'사랑할 뿐, 아픈 만큼, 1년 만에'에선 의존명사로, '나뿐 아니라, 사랑만큼, 생각만 해도'에선 조사로 쓰였다. '간(間), 차(次)'의 경우 '서울~부산 간, 놀던 차'에선 의존명사고, '이틀간, 참석차'에선 접미사다. '데, 지' 등과 같이 의존명사와 어미의 문제도 있다. 당연히 의존명사의 경우 띄어 써야 하고, 어미라면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87
2270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73
2269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2
2268 닥달하다, 원활 바람의종 2009.04.30 8652
2267 연도 / 년도 바람의종 2009.04.14 27908
2266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8011
2265 콧방울, 코빼기 바람의종 2009.04.14 11338
2264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52
2263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49
2262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24
2261 뜨거운 감자 바람의종 2009.04.09 10588
2260 준말 "럼" 바람의종 2009.04.09 10724
2259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49
2258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707
2257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29
2256 우리애기 바람의종 2009.04.03 7026
2255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7
2254 촌지(寸志) 바람의종 2009.03.31 6864
2253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71
2252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22
2251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56
2250 야트막하다, 낮으막하다, 나지막하다 바람의종 2009.03.30 11873
2249 딴죽, 딴지 / 부비디, 비비다 바람의종 2009.03.29 105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