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5 14:20

넌지시, 넌즈시

조회 수 1093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넌지시, 넌즈시

아테네 올림픽이 폐막을 앞두고 있다. 밤잠을 설쳐가며 우리 선수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보낸 10여일이었다. 덕분에 더위도, 근심거리도 잊었다는 사람이 많다. 고단한 일상의 갈증을 풀어주고, 감동과 재미를 준다는 점에서 스포츠를 각본 없는 드라마에 비유하기도 한다. 주목받지 못한 선수가 월계관을 쓰고, 많은 이변이 속출한다. 이 드라마엔 '넌지시' 알려주는 암시나 그 어떤 복선도 없다. 그래서 사람들이 더욱 열광하는지도 모른다. 자주 듣는 말 중 하나인 '넌지시'는 '드러나지 않게 가만히'란 뜻으로 '넌지시 말하다''넌지시 묻다' 등처럼 쓰인다. 그러나 이를 '넌즈시'로 알고 있는 사람도 꽤 있다. "미국 진출 의사가 있는지 그의 마음을 넌즈시 떠보아라"처럼 쓴 경우를 종종 본다.

'넌즈시'는 '넌지시'의 옛말이다. 'ㅅ, ㅈ, ㅊ' 등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전설(前舌)자음엔 같은 자리의 전설모음 'ㅣ'가 오는 게 발음하기 편하다. 이에 따라 '넌지시'는 혀의 가운데서 발음되는 'ㅡ'가 'ㅈ'아래에서 'ㅣ'로 변해 굳어진 형태다. 이를 전설모음화라고 하는데, 현대국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짓무르다(←즛므르다), 질다(←즐다), 칡(←츩) 등이 전설모음화로 굳어진 형태의 예다.

그러나 '으시시하다' '부시시하다' '으시대다' 등은 '으스스하다' '부스스하다' '으스대다'가 여전히 표준말이다. 특히 남부 지방에선 '까슬까슬'을 [까실까실]로, '메스껍다'를 [메시껍다] 등으로 발음하는 전설모음화 경향이 강한데, 이러한 말도 모두 비표준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87
2248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10043
2247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39
2246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10035
2245 최대, 최다 바람의종 2008.12.12 10034
2244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10032
2243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32
2242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31
2241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10030
2240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10023
2239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18
2238 다크호스 바람의종 2008.02.04 10017
2237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10015
2236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10015
2235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10006
2234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0
2233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996
2232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996
2231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995
2230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2229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991
2228 깨치다, 깨우치다 바람의종 2009.05.24 9989
2227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