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5 14:20

넌지시, 넌즈시

조회 수 10924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넌지시, 넌즈시

아테네 올림픽이 폐막을 앞두고 있다. 밤잠을 설쳐가며 우리 선수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보낸 10여일이었다. 덕분에 더위도, 근심거리도 잊었다는 사람이 많다. 고단한 일상의 갈증을 풀어주고, 감동과 재미를 준다는 점에서 스포츠를 각본 없는 드라마에 비유하기도 한다. 주목받지 못한 선수가 월계관을 쓰고, 많은 이변이 속출한다. 이 드라마엔 '넌지시' 알려주는 암시나 그 어떤 복선도 없다. 그래서 사람들이 더욱 열광하는지도 모른다. 자주 듣는 말 중 하나인 '넌지시'는 '드러나지 않게 가만히'란 뜻으로 '넌지시 말하다''넌지시 묻다' 등처럼 쓰인다. 그러나 이를 '넌즈시'로 알고 있는 사람도 꽤 있다. "미국 진출 의사가 있는지 그의 마음을 넌즈시 떠보아라"처럼 쓴 경우를 종종 본다.

'넌즈시'는 '넌지시'의 옛말이다. 'ㅅ, ㅈ, ㅊ' 등 혀의 앞쪽에서 발음되는 전설(前舌)자음엔 같은 자리의 전설모음 'ㅣ'가 오는 게 발음하기 편하다. 이에 따라 '넌지시'는 혀의 가운데서 발음되는 'ㅡ'가 'ㅈ'아래에서 'ㅣ'로 변해 굳어진 형태다. 이를 전설모음화라고 하는데, 현대국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짓무르다(←즛므르다), 질다(←즐다), 칡(←츩) 등이 전설모음화로 굳어진 형태의 예다.

그러나 '으시시하다' '부시시하다' '으시대다' 등은 '으스스하다' '부스스하다' '으스대다'가 여전히 표준말이다. 특히 남부 지방에선 '까슬까슬'을 [까실까실]로, '메스껍다'를 [메시껍다] 등으로 발음하는 전설모음화 경향이 강한데, 이러한 말도 모두 비표준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42
1500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33
1499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1498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782
1497 센티 바람의종 2011.05.01 13411
1496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893
1495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89
1494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29
1493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48
1492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490
1491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4
1490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71
1489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09
1488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44
1487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40
1486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65
148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22
1484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01
1483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13
1482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06
1481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83
1480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1
1479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