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73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05
1280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22
1279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821
1278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821
1277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819
1276 듬실과 버드실 바람의종 2008.01.25 7818
1275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817
1274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817
1273 엑기스 바람의종 2008.02.17 7816
1272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814
1271 실내체육관의 주소지 바람의종 2009.11.19 7813
1270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810
1269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808
1268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808
1267 조앙가 file 바람의종 2009.09.23 7807
1266 부문과 부분 바람의종 2008.04.21 7804
1265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803
1264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802
1263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99
126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98
1261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1260 문진 바람의종 2009.08.07 7797
1259 만큼 바람의종 2010.05.11 7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