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73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6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3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07
1984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700
1983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4
1982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7
1981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6
1980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99
1979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9
1978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926
1977 쇠르 몰구 가우다! 바람의종 2008.10.14 6167
1976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429
1975 쇠다와 쉬다 바람의종 2010.04.17 14412
1974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62
1973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507
197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76
1971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27
1970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8
1969 송고리 바람의종 2009.07.07 7362
1968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891
1967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63
1966 솔새 바람의종 2009.07.06 7095
1965 손톱깍이, 연필깍이 바람의종 2008.10.17 5663
196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0
1963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