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67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32
1280 왠지? 웬지? 바람의종 2010.02.22 9726
1279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28
1278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29
1277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1
1276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34
1275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37
1274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38
1273 총각 바람의종 2010.05.28 9741
1272 영어식 회사명 표기 바람의종 2012.06.19 9741
1271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42
127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42
1269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43
1268 맥적다 바람의종 2007.05.08 9744
1267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49
1266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49
1265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55
1264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56
1263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758
1262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63
1261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66
1260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766
1259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