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65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8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4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91
1896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572
1895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585
1894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167
1893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18
1892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73
1891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284
1890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19
1889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31
1888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13
1887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782
1886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00
1885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793
1884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40
1883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07
1882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46
1881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586
1880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17
»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56
1878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865
187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77
1876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381
187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