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667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83
2182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2
2181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3
2180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685
2179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92
2178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692
2177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692
2176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5
2175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01
2174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03
2173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704
2172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05
2171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07
2170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708
2169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715
2168 빨치산 바람의종 2008.02.14 7715
2167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16
2166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9
2165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24
2164 돌림꾼 바람의종 2009.09.29 7727
2163 근낭 가디! file 바람의종 2010.02.12 7732
2162 칼라, 컬러 바람의종 2009.04.09 7732
2161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