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7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79
1214 엑박 바람의종 2010.03.30 10906
1213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42
1212 ‘100만여원’과 ‘100여만원’ 바람의종 2010.03.30 12527
1211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367
1210 녹녹지 않다 바람의종 2010.03.30 12203
1209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417
1208 주마등 바람의종 2010.04.01 12393
1207 아니요와 아니오 바람의종 2010.04.01 11371
1206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33
1205 놀잇감, 장난감 바람의종 2010.04.01 5958
1204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61
1203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280
1202 써라와 쓰라 바람의종 2010.04.02 12542
1201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374
1200 유혈목이, 새홀리기 바람의종 2010.04.02 10819
1199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709
1198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820
1197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12
1196 옴니암니 바람의종 2010.04.06 12534
1195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95
1194 영어 남발 바람의종 2010.04.07 10092
1193 너무 바람의종 2010.04.10 96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