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4 21:38

번지르한, 푸르른

조회 수 772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번지르한, 푸르른

'쌀은 눈으로 봐서 '반지르한' 광택이 나며 부서진 낟알이 없는 것이 좋다'
'많은 돈을 들여 겉은 '번지르하지만' 사회적 소수를 위한 배려는 전혀 없는 예술 육교'

'겉만 '번지르하고' 속은 볼품없는 상품' 등에서 '반지르한, 번지르하지만, 번지르하고'는 올바른 표기가 아니다. '반지르르한, 번지르르하지만, 번지르르하고'처럼 '르'를 하나 더 넣어 써야 한다.

기본형이 '반(번)지르르하다'이기 때문이다. '반(번)지르르하다'는 '가죽에 기름기나 물기 따위가 묻어서 윤이 나고 매끄러운 모양, 말이나 행동 따위가 실속은 없이 겉만 그럴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다. 센말은 '빤(뻔)지르르하다'다. 자주 틀리지는 않지만 '윤기가 있고 매끄러운 모양'을 나타낼 때 쓰는 '반드르르하다'도 '반드르하다'로 '르'를 하나 빼고 쓰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르'를 하나 더 써서 틀리는 것들도 있다.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저 들에 '푸르른' 솔잎을 보라'''푸르름'과 싱그러움이 있는 풍경, 온 산 가득 싱싱한 '푸르름'을 간직한 곳, 엄동설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 등이 그런 예다. '푸르른, 푸르름'이란 말이 노랫말이나 글 속에서 많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맞춤법상으로 올바른 형태가 아니다. '푸른, 푸름'이라고 써야 옳다. 기본형이 '푸르르다'가 아니라 '푸르다'이기 때문이다. 이 말들은 형용사 '푸르다'의 어간 '푸르-'에 관형사형 어미 '-ㄴ'과 명사형 어미 '-ㅁ'이 결합된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47
1214 안갚음 바람의종 2010.10.18 9771
1213 자치동갑 바람의종 2010.10.18 11116
1212 옹글다 바람의종 2010.10.16 10112
1211 딴전 바람의종 2010.10.16 10211
1210 예산 타령 바람의종 2010.10.16 10393
1209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44
1208 올림과 드림 바람의종 2010.10.13 11095
1207 늦깎이 바람의종 2010.10.11 7956
1206 몇과 수 바람의종 2010.10.11 7869
1205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636
1204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318
1203 탓과 덕분 바람의종 2010.10.06 9870
1202 홍일점 바람의종 2010.10.06 15177
1201 조리다와 졸이다 바람의종 2010.10.04 10609
1200 주먹구구 바람의종 2010.10.04 12437
1199 커피샵 바람의종 2010.10.04 11829
1198 말머리아이 바람의종 2010.09.29 11125
1197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513
1196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68
1195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68
1194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405
1193 서툴러와 서툴어 바람의종 2010.09.08 117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