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2217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아테네 올림픽의 열기가 한창이다. 한국 축구는 아쉽게도 파라과이에 져버렸지만 올림픽 8강에 오르는 위업을 달성했다. 남은 종목에서도 우리 선수들이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최선을 다해 싸워 주었으면 한다. '상대 팀에 져버렸다' '기대를 저버렸다' '상대를 쳐부쉈다' '순위에서 뒤로 처졌다'에서와 같이 '저/져' '처/쳐'가 나오면 'ㅓ'인지 'ㅕ'인지 헷갈린다.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아 원래 한 단어(ㅓ)인지, 두 낱말이 합쳐져 하나가 된 것(ㅕ)인지 따지면 된다.

두 낱말이 결합할 때는 '어'(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이어 주는 연결어미)가 들어가 '지+어→져' '치+어→쳐'가 되기 때문이다. '저버리다'(남이 바라는 바를 어기다), '처지다'는 원래 한 단어여서 '저' '처'다. '저미다, 저리다'도 그렇다. '져버리다'는 '지다'(본용언)에 이미 끝났음이나 아쉬움을 더하는 '버리다'(보조용언)가 붙은 것으로, '지+어 버리다→져 버리다' 형태여서 '져'가 된다(보조용언은 붙여 써도 됨).

'쳐부수다'는 '치다'와 '부수다'가 합쳐져 생긴 말(치+어부수다)이어서 '쳐'가 된다. '쳐내다, 쳐들어가다'도 마찬가지다. 이와 달리 '마구, 많이'를 뜻하는 접두사 '처'가 들어간 '처넣다, 처먹다, 처마시다, 처박다, 처담다'도 있다. '(기대를) 저버리다'는 원래 한 단어여서 '저', '쳐부수다'는 두 단어가 합쳐져 '쳐'라는 것과 '처넣다'의 '처'는 '마구'의 뜻이라는 걸 알고 있으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41
2798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633
2797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4
2796 전철련 바람의종 2010.03.15 8535
2795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68
2794 전송과 배웅 바람의종 2010.12.19 13240
2793 전세값, 삭월세 바람의종 2008.11.11 6301
279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607
2791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777
2790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74
2789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460
2788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193
2787 적이 바람의종 2007.03.23 7307
278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153
2785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53
2784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26
2783 저어새 바람의종 2009.09.24 8275
2782 저린다 바람의종 2010.10.30 8779
2781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159
»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17
2779 저 같은 경우는? 바람의종 2008.03.19 6177
2778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78
2777 쟈고미 바람의종 2009.08.27 6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